보드게임

보드게임과 대회

리안포레스트 2021. 6. 11. 11:00
728x90

오래되고 가장 유명한 보드게임에 속하는 바둑과 체스 그리고 포커는 국제대회까지 있지만 아마 많은 분들이 보드게임 대회라고 하면 보드게임으로 대회까지 해요? 하는 반응일 겁니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의 머리속 보드게임은 부루마블, 젠가, 할리갈리, 루미큐브 정도거든요. 그런데 루미큐브 같은 경우 3년에 한번 열리는 월드챔피언십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보드게임은 테마협력이라고 하여 서로 힘을 합쳐 목표를 달성하는 종류의 게임도 있으나 대부분은 경쟁 게임에 속하며, 룰적으로 다양한 전략, 심리싸움 등의 요소가 포함되게 됩니다. (그래야 더욱 흥미진진하고 오래도록 플레이할 수 있으니까요.)

즉, 보드게임은 대회를 만들기 정말 좋은 물건이라는 소리죠.

다만 보드게임 대회를 위해서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관객입니다.

보드게임은 가뜩이나 마이너한 취미로 이를 즐기는 인구 자체가 적인 편인데, 이마저도 가볍게 즐기는 인원이 대다수라 남들이 하는 걸 보고 즐길 정도는 아니라는 거죠. 심지어 보드게임은 그 종류가 무궁무진합니다. 특정 종류의 보드게임 대회를 보기 위해 규칙을 공부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만약 누군가 바둑 대회 구경가자고 모르면 가르쳐 주겠다고 하면 어떤 기분이겠어요? 야구만 해도 야알못(야구를 알지 못하는 사람을 칭하는 속어)을 야구 경기장으로 데려가기 힘든데 먹을것도 거의 없고(보드게임은 먹을것과 상극이죠ㅜㅜ) 보는 맛도 덜한(그나마 야구는 던지고 친다는 규칙은 대부분 알겁니다.) 보드게임 대회를 누가 보고 싶어 하겠어요?

관객에게 관련 정보를 설명해주는 해설자나 사회자 등을 두면 어떨까 생각하시는 분이 계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해설자나 사회자를 구하는 것도 쉬운일은 아니며 이들은 전문인력이 아니니(당연히 돈이 되지 않아 프로라는게 있을 수 없습니다.ㅜㅜ) 전문성도 떨어지고 스포츠 경기와 비교하면 재미도 떨어질 겁니다.

두번째는 선수 입니다.

앞서 보드게임 관객이 부족하다고 말씀드렸죠? 놀랍게도 보드게임 대회는 선수도 부족합니다.ㅋㅋ

만약 보드게임 대회를 연다면 특정 보드게임을 유독 좋아하는 몇몇 고인물(한가지 종류의 무언가를 오래하여 실력이 월등한 사람을 칭하는 속어)이 우승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런 고인물이 몇몇이나 되겠어요? 롤식으로 하면 마스터 이상 인구가 만명중 9명이죠? 국내에 하드한 보드게이머 전체 인구가 만명이 될지 안될지 모르는 상황에 특정 보드게임의 고인물이 몇명이나 될까요?

아니면 누가봐도 우승은 정해져있는데 대회를 나가고 싶어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보드게임 하는게 아무리 즐겁다지만 질게 뻔한 게임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겁니다.

물론 보드게임 중 운에 따라 승리가 뒤바뀌는 게임이 상당히 많습니다만 이게 도박을 하자는건 아니니까 보통 전략성이 있는 게임이 대회 아이템으로 선정되니까요.ㅜㅜ

세번째는 주최자 입니다.

보드게임 대회를 연다면 주최자는 선수나 관격보다 더 많은 노력(시간과 돈)을 투자해야 됩니다. 보드게임을 준비하고, 장소를 준비하고 선수를 뽑고 이를 관리해줄 집행부도 뽑아야 하죠. 그러면 주최측의 이득이 있어야 될 건데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보드게임 대회는 관객이 적어 이를 통해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구조가 아닙니다. (스포츠 경기도 오직 홍보효과만 보고 투자하는 마당에 보드게임 대회가 돈이 되겠습니까?)

그나마 보드게임 제작사가 판매를 목적으로 하거나 지역의 보드게임 카페 같은곳에서 고객 유치를 위해 진행하는 이벤트 대회가 대부분이죠. 그리고 이런 이벤트 대회는 규모도 작고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적습니다.

보드게임 대회의 마지막 관문은 코로나19입니다.

이는 현재에만 적용되는 관문이겠지만 4인이상 집합금지... 보드게임의 대다수가 2~4인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주최자, 관객까지 포함하면(사실 리그든 토너먼트든 경기는 단판이 아니니 선수도 2~4명보다는 많습니다.) 이 인원은 당연히 4인을 훌쩍 넘어설 겁니다.

이런 와중에 국내에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전국단위의 보드게임 대회가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일단은 제 다른글에서 소개해드린 키포지의 공식 대회입니다.

벌써 3회가 진행되고 있는 키포지 대회는 비대면 대회으로(화상회의 프로그램 사용) 진행되고, 키포지의 국내 유통사인 코리아보드게임즈(일명 코보게)에서 진행하는 공식 대회입니다. 또한 코보게내 다수의 집정관(키포지 플레이어를 부르는 명칭)이 힘써 다양한 상품을 걸고 진행되며 편집도 깔급하게 하이라이트만 뽑아 유튜브에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코보게내 촬영과 편집을 담당하는 분 중 한분이 집정관입니다.)

https://cafe.naver.com/keyforgeofficial/397

 

제3회 <키포지> 온라인 토너먼트 개최(06/04 18:30 수정)

* 참가자 전원에게 <키포지 어드벤처: 심해의 비밀결사> 1개 제공(06/04 18:30 수정) 제3회 <키포지> 온라인 토너먼트 [토너먼트 참여 신청하기] [토너먼트 카카...

cafe.naver.com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JgMDaZFHPcGgQEHIAmEAS2Ni3ueW8R2Z

 

키포지 온라인 토너먼트 하이라이트

 

www.youtube.com

 

다음으로 소개해드릴 대회는 국내 최대 테이블탑 시뮬레이터 커뮤니티인 TTSKR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대회들입니다.

제가 바로 직전 올린 글에 나오는 아이엠 을 획득한 대회도 바로 이곳이죠.

현재 티츄, 테포마, 워체스트, 하트오브크라운, 샤오리아, 키포지, 배틀콘 등의 대회가 진행됩니다. 커뮤니티의 수장인 가만두더지님의 영업력으로 몇몇 대회는 공식 퍼블리셔 혹은 유통사의 협찬을 받아 진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트오브크라운, 샤오리아 키포지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압니다.)

https://cafe.naver.com/ttskr

 

TTS KR[테이블탑 시뮬레이터를 즐... : 네이버 카페

테이블탑 시뮬레이터 카카오톡 오픈채팅 [TTS KR-소통방, 모임방]의 커뮤니티입니다.

cafe.naver.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lvpkZePlREI1pb4uxoKdIQ/videos

 

가만두더지

게임 콘텐츠 유튜버 가만두더지입니다. 재밌는 일을 많이 만들어봅시다.

www.youtube.com

 

TTSKR 대회의 경우 해당 게임을 상당히 잘 아는 게이머들의 도움을 받아 해설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어 게임 규칙만 아시는 분들도 게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초보자도 규칙만 사전에 습득하고 있다면 쉽게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광탈을 방지해주지는 않지만 온라인 아마추어 대회의 특성상 선수들간에 협의한 시간에 플레이가 이루어져 시간 투자가 덜 한 편입니다. 대회가 진행되는 보드게임은 오래걸려도 1~2시간이니까요.)

저 또한 초보자지만 대회가 진행되기전에 규칙을 배우고 다른사람들과 즐기기 위해 대회를 참여하는 편입니다. (광탈하는 경우도 있지만 의외로 이겨서 결승까지 진출하거나 상품을 받기도 했습니다.) 평소에는 사람 모으기 힘든 게임일 수 있지만 대회에 참여하면 어쨋건 한판은 즐길 수 있으니(심지어 제 시간에 맞춰서요) 대회가 열리는 게임에 관심이 있다면 대회 참여에 대한 부담이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만, 아무추어의 특성상 대회 영상이 풀 영상이라 시청에는 불편이 있으실겁니다.

만약 여러분들이 보드게임에 관심이있고, 할리갈리를 벗어나 좀 더 전략성 높은 게이머스 보드게임을 즐겨보고 싶다면, 하지만 게임을 사기는 부담되고 같이 해볼 사람은 없는 상태라면 (보통 하자고 하는 사람이 룰을 알아야하고, 보드게임 카페에는 이런 종류의 보드게임이 없는 경우가 많죠.) 각종 보드게임 룰마(룰을 자세히 알고 설명할 준비가 된 사람)와 대회가 존재하는 TTSKR의 문을 두드려보시면 어떨까요?

저희는 여러분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제가 커뮤니티 간부도 아니고 뭐도 아니지만 다들 잘 맞이해주십니다.ㅋㅋ)

덧. 테이블탑 시뮬레이터에 대한 내용과 TTSKR 커뮤니티에 대한 내용은 다음글을 참고해주세요. (오픈톡, 디스코드, 카페가 있습니다.)

https://freebirdtm.tistory.com/5

 

테이블탑 시뮬레이터

오늘은 테이블탑 시뮬레이터에 대해 잠시 이야기 드릴까 합니다. ​ 보드게임을 하다보면 여러 제약사항들이 발생하죠. 요즘같은 때라면 오프라인에서 모여야 된다는게 가장 큰 문제 같습니다.

freebirdtm.tistory.com

반응형